■ 집단 구조를 반영해야 하는 이유사회과학 데이터 중에는 집단 내 종속성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은 학교에, 환자는 병원에 소속되어 있고, 근로자는 회사에 소속되어 있다. 이렇게 집단에 속한 개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할 때는 각 개인이 갖는 독립변수 외에, 소속된 집단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할 경우가 있다. 즉, 학생의 성적에는 개인의 성별이나 공부 시간 같은 개인 속성뿐 아니라, 사립학교 여부나 학교 규모, 교육환경 같은 학교 차원의 특성도 함께 작용한다고 보고, 그것을 분리해서 파악해야 개인이나 학교의 특성이 갖는 효과를 제대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계층적 구조를 반영하지 않고 일반적인 단일 수준 회귀모형으로 분석하면, 집단의 효과가 개인 속성의 효과에 섞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