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청 2

경청은 특정 프레임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다

경청할 때는 상대방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공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대부분 말한다. 맞는 말이다. 내가 가진 틀로만 들으면 놓치는 것이 있고, 상대방의 의견을 이해하기 힘들 때도 있다. 나의 입장이나 시각으로 상대방 말을 걸러서 듣지 말라는 뜻이다.   인지심리학 연구에 의하면, 우리가 말을 듣거나 볼 때, 사진 찍듯이 들어오는 자극들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frame) 또는 스키마(schema)를 통해 정보를 재구성한다. 각자가 가진 틀에 따라 같은 내용을 다르게 듣고 이해한다. 한 실험에서는 같은 이야기를 들려준 뒤, 이를 다시 적어도록 했을 때, 없는 내용이 들어가기도 하고, 있던 내용이 빠지기도 했는데, 이는 각자의 경험과 배경이 달랐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가 전달 게임을 할 때도..

잘 듣는 다는 것은 ?

우리는 늘 누군가의 말을 듣고 있지만, 정작 들어야 할 말을 놓치기도 합니다. 목소리가 크거나 말할 욕구가 강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쉽게 들리지만, 조용히 말하는 사람이나 표현이 서툰 사람들의 의견은 지나쳐 버리기 쉽습니다. 경청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단순히 잘 들리는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말이 적더라도 귀 기울여야 할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경청이기 때문입니다. 소통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상호작용입니다. 한 사람의 말에 다른 사람이 반응하는 것, 그것이 바로 소통입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관계를 형성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경청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경청이 없다면 상호 작용이 아니라 일방적인 관계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가 경청을 잘 하지 못한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