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득 2

잘 듣는 다는 것은 ?

우리는 늘 누군가의 말을 듣고 있지만, 정작 들어야 할 말을 놓치기도 합니다. 목소리가 크거나 말할 욕구가 강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쉽게 들리지만, 조용히 말하는 사람이나 표현이 서툰 사람들의 의견은 지나쳐 버리기 쉽습니다. 경청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단순히 잘 들리는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말이 적더라도 귀 기울여야 할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경청이기 때문입니다. 소통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상호작용입니다. 한 사람의 말에 다른 사람이 반응하는 것, 그것이 바로 소통입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관계를 형성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경청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경청이 없다면 상호 작용이 아니라 일방적인 관계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가 경청을 잘 하지 못한다면 ..

소통을 잘 하려면

자신이 가진 전문성 아니면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그런 능력이 있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인정해야 한다. 남들이 인정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능력이라도 발휘할 수가 없다. 트로이의 멸망을 예언했던 카산드라를 생각해 보자. 그녀는 미래를 정확하게 예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으나, 불행히도 아무도 그것을 믿어주지 않는다. 뛰어난 예견 능력을 가지고 자신의 죽음 조차 피하지 못했다. 결국 진정한 전문가가 되려면 전문성과 함께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 전문성이 없이 설득력만 있으면 사기꾼이 될 것이고, 반대로 전문성만 있고 설득력이 없으면 카산드라처럼 비운의 예지자가 된다.  그런데 소통역량이 학습가능한가? 혹시 타고난 것은 아닌가? 부분적으로 맞다. 학습효과가 큰 사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겠지만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