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함률 오차 (Coverage Error)데이터는 현상에 대한 관찰 결과를 모아놓은 것이다. 그런데 그 현상의 일부분에 대해서만 데이터가 있다면 비록 그 크기가 크더라도 에러가 발생한다. 이런 것을 포함률 오차(Coverage Error)라고 한다. 예컨대 한국 20세 이상 성인들의 인터넷 사용 정도를 연구하면서 네이버 사용자들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했다면 네이버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표본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 경우 데이터가 100만 200만 사례를 포함한다고 해도 여전히 에러가 발생한다. 이런 성격의 에러는 표본이 커진다고 해서 줄어들지는 않는다. 즉 표집을 위한 표집틀이 실제 모집단을 충분히 포함하지 않을 때 또는 모집단에 해당되지 않는 요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을 때 발생한다. 예컨대 한국의..